만약 전기 케비넷이 염분 환경에 노출되었다면, 장비 내/외부의 염분을 완벽히 제거하여 부식을 방지하여야 한다.
필요조건
기계 장비나 전자 기계 장비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도구와 세정제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일정량의 건조제도 필요하다.
절차
|
1 |
기계 장비의 표면을 보푸라기 없는 촉촉한 천과 순한 세제를 이용해 닦아낸다.
노트물을 과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본 장비는 방수가 되지 않을수도 있다.
|
|
2 |
청소가 마무리 되면, 장비를 잘 말려야 한다. |
|
3 |
표면상에 부식이나 손상된 부위, 페인트 버블, 혹은 얼룩이 없는지 잘 확인한다. |
|
4 |
손상이 의심되는 부위를 깨끗히 한 후, 정확한 보존 약품을 이용하여 손상 부위를 보호한다. |
|
6 |
정전기 방지 노즐이 달린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장비 내부의 먼지를 제거한다.
노트민감한 회로 기판과 부품들을 주의한다. 청소 과정중에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
7 |
외부에 노출되는 모든 케이블을 잘 닦고, 손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만약 케이블이 마모나 노화의 징후를 보인다면, 콩스버그 마리타임 에 연락하여 도움을 받는다.
|
|
8 |
해당 장비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다면, 보관 기간 중에 천천히 방전될 수 있다. 만약 장비가 장기간 보관되어 있어야 한다면, 모든 내장 배터리를 제거하거나 연결 해제한다.
전기의 방전을 예방하기 위해 배터리와 연결부 사이에 적절한 크기의 절연제를 끼워 놓아도 좋다. 그럴 경우, 배터리가 장비 내부에 있어도 되기 때문에 보관 기간 동안 분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경고리튬배터리나 알카라인배터리를 포함하고 있는 장비들은 별도로 특별 취급해야 한다. 이러한 장비들은 그에맞게 표기되어 있다. 이러한 배터리들을 충전하려 하거나, 개봉 혹은 소각해서는 안된다.
자세한 설명은 장비의 제품설명서나 배터리 취급설명서를 참조한다.
|
|
9 |
만약 필요하다면, 보관/선적 상자에 적절한 양의 건조제 (실리카 겔과 같은)를 배치하여 전기 부품이 최대한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
|
11 |
설치되지 않은 여분의 부품들을 잘 확보한다(충격 흡수장치, 플러그, 소켓, 돌출된 물건 등). |
|
12 |
만약 전기 케비넷이 보관되거나 선적되어야 한다면, 포장 전 장비 외부에 (경유 같은) 부식 억제제를 분무한다. |